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
조선왕릉 [연재]조선왕릉 동구릉 경릉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삼연릉 - 세계문화유산
-
조선왕릉 [연재]동구릉 원릉 능침 영조 정순왕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
조선왕릉 [연재]동구릉 원릉 영조 정순왕후 - 조선왕릉 폐릉지에 모신 정조의 복수?
-
조선왕릉 [연재] 동구릉 인조 계비 예송논쟁의 당사자 장렬왕후 휘릉 - 익랑 정자각 조선왕릉
-
조선왕릉 [연재]조선왕릉 동구릉 목릉 인목왕후 능침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조선왕릉 [연재]조선왕릉 동구릉 목릉 선조 능침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조선왕릉 [연재]조선왕릉 동구릉 목릉 선조 - 지금도 비난을 많이 받고있는 임금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조선왕릉 [연재] 조선왕릉 태조 이성계 동구릉 건원릉 억새 절정기 - 2
-
조선왕릉 [연재] 조선왕릉 태조 이성계 동구릉 건원릉 억새 절정기 - 1
-
조선왕릉 [연재]조선왕릉 동구릉 문종 현덕왕후 현릉 - 어찌보면 제일 아까운 군왕
-
조선왕릉 [연재]동구릉 문조익황제 수릉 - 효명세자와 조대비 신정왕후의 안식처
-
조선왕릉 [연재]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동구릉 - 외연지와 제례를 준비하던 재실
-
조선왕릉 [연재] 조선 왕릉 답사 시작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답사
-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조선왕릉 - 태조 이성계 건원릉 능침
-
조선왕릉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동구릉 태조 이성계 건원릉 금천교에서 정자각까지
-
조선왕릉 태조 이성계 건원릉 정자각과 소전대 비각 - 구리 동구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경쾌한 산책
-
지금의 안산 11월 성태산 둘레길에서 만끽한 가을 낙엽 - 점성공원
-
노적봉과 성호공원 장마철 매미소리 들리는 성호공원 산책길 - 2020년8월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20년5월] 비오는 풍경 성호공원 부곡동 푸른학습장 연못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20년 4월 성호공원 봄풍경 - 벚꽃과 산책길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20년 3월 성호공원 부곡동 푸른학습장 풍경
-
노적봉과 성호공원 안산일동 점성마을 1979년 사진과 2019년 성호공원 11월 가을 풍경
-
노적봉과 성호공원 경기도 안산 노적봉과 성호공원 전반적인 소개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07년 가을]노적봉과 성호공원 이야기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18년 4월] 안산 성호공원 단원조각공원의 봄꽃 - 겹벚꽃 왕벚꽃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17년 11월] 눈내린 설경 안산 성호공원 풍경
-
노적봉과 성호공원 [2017년11월] 늦가을 풍경 - 안산 성호공원에서 만난 매
블로그 인기글
-
역사 화가와 그림 쓸쓸하고 높은 정신세계를 펼쳐보인 추사 김정희 세한도 - 국보 180호 추사 김정희의 아주 유명한 그림인 세한도를 보면 의외로 어떻게 이런 그림이 국보씩이나? 하는 의문이 들수 있습니다. 세세히 뜯어보면 가운데 배치된 집은 엉성한건 둘째치고 원근법에도 어긋나는데 아무리 원근법이 서양화 기법이라해도 상식적인 실물 관찰만으로도 나올수 없는 형태입니다. 집안을 들여다볼 입구도 둥그렇고 방향도 원근법 무시된 집이 그려진 방향과 또한 반대입니다. 형태로보면 엉터리... 세한도 그림..
-
드라마 사극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실제인물 정통사극이 부재하는 현재에 일본의 NHK처럼 공영방송에서는 최소한도의 제작은 해야하는것 아니냐는 생각들이 꽤있습니다. 아예 맥이 끊긴 현재에 그나마 퓨전사극이 나오는 현재인데.. 한류바람이후 퓨전사극에서 일본에 대해 적대감을 드러내는건 많이 자제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현재 24부작가운데 22부까지 방영된 미스터 션샤인은 초반에 구동매를 멋있게 그려 명성황후를 시해한 일본 낭인들까지 미화하는것 아니냐는 이야..
-
강세황 김홍도와 그림 [화첩기행] 김홍도와 정선의 산수화 낙산사 - 의상대와 홍련암 2005년 바다 풍경이 멋진곳에 위치한 사찰인 낙산사에 화마가 덮치고 건물들이 모두 불탔고 보물인 동종까지 소실되었습니다. 낙산사는 잘아는것처럼 의상대사가 창건한 곳으로 의상대는 의상대사가 좌선을 하던곳입니다. 의상대와 홍련암 일대는 명승 27호로 지정되었는데 관동팔경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낙산사하면 서인의 영수였던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에 나오는 장소로 관동팔경이 떠오릅니다. 윤선..
-
유적지 [서울 서촌] 경복궁옆 통의동 창의궁 백송터 - 월성위궁 추사 김정희 집터 최근에 추사관련 글을 연달아 쓰고있습니다. 과천에 추사 박물관이 있지만 서울안에서도 만날수있는 추사 유적지는 경복궁옆 일명 서촌으로 불리는 동네에 김정희 집터가 있습니다. 추사는 아들이 없는 백부 김노영의 집에 대를잇기위해 양자로 들어가는데 추사의 집안은 증조부 김한신이 영조의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면서 월성위에 봉해졌습니다. 이주변은 영조가 연잉군시절에 살던곳으로 창의궁이있던 자리입니다. 이후에..
-
조선시대 추사 김정희 문인이자 최고의 학자였던 예술가 - 생애 흔하게 추사체의 창시자로 생각하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일반적으로 깊이 알아보지 않았다면 추사 김정희는 한석봉처럼 글씨 잘쓰고 단원 김홍도처럼 그림 잘그리는 예술가로서 인지하는 경우가 꽤많지만 실제로 그는 금석학의 대가로서 지금기준으로 보면 (당시 성리학적 전통이 많이 사라진 상태의 청나라까지 이름이 알려졌는데 아직 성리학적 기운이 많이 남아있던 조선에서온 학인들의 식견을 알아보고 대우해..
-
박물관 과천 추사박물관과 김정희가 노년에 기거한 과지초당 앞서 이야기한 일본의 청조학 연구가 후지츠카 치카시는 추사를 청조학의 일인자로 인정하면서 많은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당시 일제강점기로 경성에 와있었기에 가능했던일로 이후 자료들을 일본으로 귀국하면서 가져갑니다. 당시는 태평양전쟁 막바지 시기로 대규모 공습이 있었는데 후지츠카가 있던 대동문화학원 자료들도 포화를 피하지 못하고 많이 사라지지만 다행히 추사관련 자료들은 자택에 보관했기에 보존이 되었습니..
-
일상속 아트 페인팅 [아트페인팅] 여유 - 동백꽃과 백자 달항아리 그리고 국보 170호 청화 매조죽문 호 앞으로 아내가 간간히 그리는 혹은 이전에 그렸던 그림들에 대해 소재가 되었고 생각을 하게된 사물이나 정황과 함께 영상화하는 것을 시작합니다. 어릴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외에는 진정으로 관심이 있던 분야는 많지 않았습니다. 나와 같이 영상과 디자인 사무실을 운영했던 시절이 벌써 이십여년전이었던 시점에도 매일매일 메모장마다 낙서로 충족하곤 했었는데.. 육아에 매진하던 시절이 지나 아이가 어느정도 자라고나서는..
-
일상속 아트 페인팅 [아트페인팅] 머리빗는 여인 - 서양 철쭉 아잘레아와 모란 머리빗는 여인하면 제일먼저 생각나는건 우리 외할머니.. 어릴적 우리집에 한두달정도 머물다 가실때면 당시로서는 나름 장수했다고 할수있는 나이인 일흔이 넘으셨는데 특유의 노인냄새와 국민학교 시절 텔레비젼에서 보기싫은 국악공연하는 방송을 주말 만화나 재미있는 드라마등과 겹쳐도 속으로 빨리 끝나라고 기도드리면서 겉으로는 군소리 못하고 보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제일 인상적인 장면은 긴머리를 아침마다 지금은..
-
강세황 김홍도와 그림 추천도서 - 단원 김홍도 오주석 지음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많이 알려진 화가를 꼽으라면 단원 김홍도를 제일 처음 이야기할수 있습니다. 단원의 풍속화는 당시 사회상을 엿볼수 있는 귀중한 그림이기도합니다. 현재 전하는 단원의 작품은 대략 3백점정도인데 김홍도 연구로 유명한 오주석 선생의 말에 의하면 당시 화원들이 가졌던 생활상이나 성실함 그리고 정조의 특별화가로서의 활동까지 고려하면 대략 만점이 넘었을것으로 추산합니다. 도서관에서 우리나라 화..
-
영화 영화로 만나는 조인성의 양만춘 - 안시성 우리에게는 항상 고구려의 상무정신을 본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심심찮게 듣습니다. 좀더 나아가면 그 시대의 영토를 되찾아야 한다는 명목아래 역사 왜곡을 하는 사람들까지 있는걸 보면 고구려 이야기는 우리에게는 매우 피를 끓게 만드는 민족적인 영웅시대이기도합니다. 하지만 고구려의 패망은 내부적인 권력투쟁도 있었지만 수당과의 전쟁으로 인해 내부사정이 매우 피폐해진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자주성도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