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놀이터/선사시대 (9)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석기 유물이 가득한 암사동 선사유적 전시관 관람 앞서 전시관 주변의 움집 모형과 원시 마을 모형등을 봤습니다. 석기시대는 연대를 가늠하는게 어렵고 선사시대이기에 문자로 남겨진것들도 없습니다. 결국 유물을 가지고 판단을 해야되는 시기이기에 출토되는 유물을 연구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볼수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것처럼 암사동 선사시대 유물이 처음 세상에 나온건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당시였습니다. 이후 계속 묻혀져있다 1967년 전국대학연합 발굴조사단에 의해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방문은 2014년 4월이었고 암사동을 비롯해 이날은 백제의 근거지였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을 들렀고 다음에는 송파 백제 고분군과 방이동 고분군을 답사했습니다. 시간이 남아 몽촌토성내의 한성백제 박물관을 재방문했고 올림픽 공원내에 있는 올림픽 기념관도 같이 방문했습니다. 코스..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가 대량 출토된 서울 암사동 선사 유적지 한강은 역사적으로 우리민족에게는 많은 역사의 물결을 안겨준 곳입니다. 우리에게 한강의 역사는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암사동에 있는 한강의 유적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당시에 대량의 신석기 유물들이 발견되면서입니다. 시대가 일제시대 였기에 일본은 말로는 내선일체니 내세우긴했지만 오래된 역사유물이 새로나오는게 그리 탐탁치는 않을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현재로선 이유를 정확히 알수없지만 수많은 유물이 나왔지만 거기에서 그치고 그대로 넘어가게됩니다. 한강이 우리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역시 먹고살기 좋은 입지때문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아간 커다란 이유라 볼수있습니다. 암사동 선사유적지의 중요성은 집단 거주의 흔적이 있기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곳곳에서 석기시대.. 경기도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과 구석기 겨울여행 축제 - 2015년 전곡 선사박물관을 관람하고나서 같이 붙어있는 선사유적지와 그곳에서 열리는 구석기 겨울여행 축제를 보러갔습니다. 선사박물관은 당시만해도 유료관람이었고 경기도민 할인받아서 좋아라했는데 지금은 무료로 개방되고 있습니다. 날잡아서 한번 더가는걸로... 관련글보기2018/03/19 - [한국사 놀이터/선사시대] - 고고학계의 통설을 뒤집은 아슐리안 도끼가 출토된 연천 전곡 선사유적지 - 전곡선사박물관 우리가족은 동선을 선사박물관부터 시작한 관계로 선사유적지를 둘러보고 가는중 구석기 축제 동영상 유튜브 - https://youtu.be/7QIQaMPECMM카카오 TV - http://tv.kakao.com/v/383707980네이버 TV - http://tv.naver.com/v/2892666 곳곳에 선사시대와 관.. 고고학계의 통설을 뒤집은 아슐리안 도끼가 출토된 연천 전곡 선사유적지 - 전곡선사박물관 한탄강변에 위치한 경기도 연천군의 전곡 선사유적지는 1978년 당시 주한미군으로 와있던 보웬이 발견했습니다. 한탄강에서 애인(이후에 결혼)과 데이트중 우연히 발견한 석기는 대부분이 대수롭지않게 그냥 지나쳤을수도 있었는데, 그레그 보웬은 캘리포니아 빅터벨리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했기에 애인이 줏어온 돌들이 당연히 예사롭게 보이지 않았을터였습니다. 보웬의 제보로 1979년부터 고고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유명한 김원룡 선생이 있던 서울대에서 발굴을 시작했고 구석기 유적이 대량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전곡 선사유적지에서 발굴된 것은 아슐리안 도끼로 그때까지의 통설은 아프리카와 중동 유럽등지에서만 발달한 석기였습니다. 아시아에서는 발견된적이 없었기에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곡리 유적을 처음 발견한 그렉 .. 한국인발견 - 국립문화재연구소, 1,300여점의 빙하기 시대 포유동물 화석 10월말 표본 화석 공개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매머드의 털과 피부등 빙하기시대의 포유동물의 화석이 기증받아 전시됩니다. 한반도에는 공룡화석과 집단서식을 알수있는 많은 선사시대 화석등이 발견되었지만 매머드와 관련된것은 많지않아 희귀한 전시가 될것으로 기대됩니다. 희귀 표본인 매머드털과 피부 매머드 상아표본(3미터 이상크기) 크기를 비교하기위해 반달가슴곰 두개골과 비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최소 1만 년 이전에 살았던 털매머드를 비롯한 희귀 신생대 포유동물 화석 표본들을 기증을 통해 확보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교포이자 일본 나가노현 고생물학박물관의 박희원 관장이 1994년부터 직접 시베리아 동토층에서 발굴한 털매머드를 비롯한 다양한 화석 표본들을 지난해 6월 국립문화재연구소에 기증하여 11월 국내 이송을.. 강원도 평창 청동기시대 무덤에서 비파형동검과 인골 출토 강원도는 선사시대 유적과 유물이 많이 나오네요.. 레고랜드 개발하려고 할때도 전체 영역 자체가 유적지였는데 이번에는 평창 개인주택 신축부지에서도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답사를 다니다보면 항상 지역의 전시장이나 박물관을 들르게되는데 풍부한 역사자원이 순수 연구 목적은 물론이고 지역의 주목성을 높이는데도 기여하고있습니다. 발굴지역 원경 - 강원도 평창 하리 신축주택 부지 공사중 발견 조사지역 전체 현황도 2호 무덤 전경 2호 무덤내 인골과 비파형 동검 출토 당시 출토된 비파형 동검 비파형 동검 세부 용어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이 발굴조사 중인 평창군 하리 건물 신축부지 내 유적에서 비파형동검과 신전장을 한 피장자의 인골이 함께 확인되었다. * 비파형동검(琵琶.. 세계 최초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 경남 남해군 가인리 화석산지에서 발견 우리나라에서 중생대 백악기 시기의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경남 남해는 지난달에 보리암등을 다녀온 곳인데..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에서 발견되었답니다. 내년 일반에 공개예정.. 세계최초로 발견된 중생대 백악기 시절의 도마뱀 발자국 산쑥도마뱀의 왼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경남 남해군에 있는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499호)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 발자국 화석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 발견된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총 8개의 앞발자국과 뒷발자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단 한 번도 보고된 적이 없는 중생대 백악기의 도마뱀 발자국으로, 이 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함안층이다. * 함안층: 중생대 백악기 약 1억..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 - 선사 시대의 구석기 신석기 문화양상 담겨진 동굴유적 발굴 강원도 정선에서 선사시대의 생활상이 담긴 유적이 발굴되었습니다. 정선의 매둔동굴안에서 화덕자리와 석기 그리고 여러 동물들의 뼈가 나왔는데 특히 물고기뼈가 나왔습니다. 물고기에 관한 수렵자료는 많지 않기에 이곳처럼 냇가에서의 수렵생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강원도 정선에서 선사시대 유물 발견은 처음입니다. 정선 낙동리 매둔동굴 전경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연세대학교박물관(관장 한창균)은 지난 6월부터 약 한 달간 2차례에 걸쳐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자리한 석회암 동굴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문화층이 있는 동굴유적이 확인되었다. 정선군에서 선사 시대의 동굴유적 발굴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선 낙동리 매둔동굴 조사광경 * 발굴 현장: 강원도 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