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이야기/성호이익과 실학 (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산 일동 이익선생묘 첨성사 - 성호 이익 유적지 답사 안산 일동에오면 대로변인 성호공원에 식물원(행정구역상 이동이지만 접근성은 일동이 더 가깝습니다)이 있고 바로옆에는 주차장과 성호박물관이 있습니다. 성호 이익 선생이 어린시절 내려온후 평생을 머무르며 학문에 정진하던 곳으로 박물관 맞은편에는 성호이익 선생의 묘지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익선생묘는 가문인 여주이씨의 묘역으로 대사헌과 병조판서를 역임한 이계손이 선산으로 자리를 잡았고 후손들이 자연스럽게 거주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습니다. 이익선생묘는 안산개발을하던 70년대에 이장 논의가 있었는데 다른 묘소는 이장을 했지만 이익선생묘는 남겨두게 되었습니다. 이익선생묘는 직계후손이 없어 방치되다 1967년 이익선생추모회에 의해서 정비되었습니다. 2014년 이익선생묘 영상 블로그 관련글 - https://nolete.. 18세기 새로운 흐름 실학의 성호 이익 선생이 살던 성호장의 위치는? 성호 이익선생의 호가 성호(星湖)인것은 별을 보던 호수가 근처에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별의 의미는 서정적인 의미도 담겨있지만 당시 서구의 과학이론들이 북경을 통해 이미 많이 들어와있었고 성호 이익은 부친 이하진이 북경 유리창을 통해 들여온 수천권의 장서를 섭렵한 상태였습니다. 천문학에 조예가 깊었습니다. 성호 집안의 손자이자 제자이기도했던 이가환이 신유박해때 천주교 수용으로(그의 천주교 수용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옥사하면서 채제공을 이을 남인의 차기 정승이자 조선의 수학 천재가 사라지기도 했습니다. 이가환은 정조가 극심한 당쟁속에서도 남다른 학식을 인정하고 여러번 보호해주던 천재였습니다. 안산 도시개발이 시작되면서 여주이씨 집안의 묘역이 대부분 이장되었지만 성호 이익 선생의 묘만 주변의 반대로 남게되었습.. 성호 이익 선생이 학문을 연구하던 첨성리 - 경기도 안산 일동 탐방 첨성(瞻星 - 별을 바라본다는 의미)으로도 불리고 점성으로도 불리던 현재의 안산시 일동은 수도권 변방의 조그만 동네입니다. 흔한 아파트 하나 들어서지 않은 동네로 요즘의 잣대로 본다면 개발호재가 있다거나하는 영양가 높은 곳은 아니지만 성리학을 금과옥조처럼 떠받들며 정쟁에만 신경쓰던 사대부들이 변화하는 세계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며 18세기 조선시대 후기로 넘어가는 시점에 중요한 학자 한분이 평생 학문을 연구하던 동네입니다. 안산군읍지에 실린 안산지도 오른쪽 끝에 광주와의 경계지점에 보이는 점성마을이 이곳으로 당시만해도 현재 성호공원과 연결된 노적봉 옆으로는 바다였습니다. 1842년 지도 성호선생이 서호라 부르던 바닷가 조용한 어촌마을이던 이곳에 성호 이익 선생은 평생 은거하면서 연구한것은 현재의 실학이라.. 진주유씨 집안의 부계전도 - 1900년 안산 부곡동 지도 - 성호박물관 성호박물관에서 전시중인 부계전도와 부계팔경도는 1900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안산 부곡동을 세거지로 삼았던 진주유씨 집안의 토지와 지명을 꼼꼼하게 기록한 지도이자 그림입니다. 현재의 청문당과 경성당과 주변을 감싸고있는 수리산자락의 옛지명과 모습을 기록해두었습니다. 진주유씨 집안의 모산 유원성(帽山 柳遠聲, 1851~1945)이 그린 작품입니다. 유원성의 자는 주명(周鳴), 호는 모산(帽山), 본관은 진주이다. 1874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897년에는 법부주사로서 고종이 원구단에서 고유제를 지낼 때 재랑(齋郞)으로 참여하였다. 1899년 평리원주사를 거쳐 같은 해 겸임법규교정소주사를 지냈다. 1901년 산릉도감낭청과 평리원검사를 지냈고, 법부 법률기초위원과 법부교정소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며, 1906년.. 경기도 안산 20회 성호문화제 - 성호 실사구시 정신의 계승 매년 우리동네에서 열리는 성호문화제 벌써 스무번째행사가 되어가네요. 성호공원일대와 이익선생묘가있는 첨성사 그리고 성호기념관에서 열립니다. 커다란 축제형식은 없이 단촐하게 진행되지만 아이와 한번쯤 오는것도 괜찮습니다. 평소에 들어가보기 힘든 첨성사에서 숭모제가 열리고 성호기념관도 이전처럼 무료관람이고 둔배미 놀이와 와리 풍물놀이도 재연한다고합니다. 그외에도 전통예술공연등을 볼수있고 백일장이나 콩을 널리 장려했던 성호 이익선생 뜻을 기려 삼두회 체험도합니다. 블로그의 관련글 2015/05/14 - [역사유적 방문/전시및뉴스] - 안산 5월23일 24일 - 제19회 성호문화제 “성호 실학사상으로 세대공감”2015/05/09 - [역사유적 방문/유적지] - 조선 중기 실학자 성호 이익 선생묘(李瀷先生墓) - 경.. 안산 5월23일 24일 - 제19회 성호문화제 “성호 실학사상으로 세대공감” 매년 열리는 성호문화제는 안산에서 평생 살았던 성호 이익 선생의 뜻을 기리는 행사로 조선 중기 실학사상의 정수를 보여주었던 것을 다시금 되새겨 보는 행사. 초기에는 성호이익선생묘와 성호기념관 그리고 성호공원에서 주로 열렸었는데 몇년전부터 멀리 떨어진 고잔동 호수공원에서 행사를 가지기도.. 올해는 다시 성호공원과 기념관 일대에서만 행사가 치뤄지는데 대부분의 일정을 요약하면 민속놀이와 삼두회 체험 그리고 행사일에는 성호기념관이 무료로 개방되는데 현재 리모델링중으로 성호문화제에 맞춰 개관이 되는데 어떻게 변했을지 궁금합니다. 집앞인데도 갔다온게 언제적인지 기억이 가물가물 제19회 성호문화제 “성호 실학사상으로 세대공감” 실학(實學 practical science)/전통(傳統 tradition)/ 교육(敎育 e.. 조선 중기 실학자 성호 이익 선생묘(李瀷先生墓) - 경기도 안산시 일동 성호 이익 선생은 1681년 숙종7년에 아버지 이하진의 유배지에서 출생한다 평안도 운산이었는데 기구한 그의 일생이 시작된것은 이듬해 55세의 아버지는 그만 세상을 등졌고 원래 북인이었던 성호선생의 집안은 광해군대를 거쳐 인조때 기울기 시작했는데 이후 남인계열로 편입되었고 제일 유명한 학자는 반계수록을 저술한 유형원으로 외가쪽으로 6촌 당숙지간 한시대를 풍미하던 학자들을 배출한 곳 하지만 성호선생과 학문적인 영향은 많았겠지만 직접교류는 거의 없었다고 전해짐.. 성호선생은 스물두살 터울의 형인 이잠에게서 공부를 배웠지만 과거길과 인연이 없었는데 이유는 성호이익이 26세될때 아버지처럼 따른 형님이 서인 중신의 잘못을 숙종에게 상소했지만 오히려 역적으로 몰려 장형을 받으며 죽었고 성호선생은 이일이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