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효창공원에 안장된 삼의사는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의사로 세분중에 백정기 의사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에 이름이 생소했고 이봉창의사와 윤봉길 의사는 어릴때부터 위인전으로 익숙하게 만나던 인물
여기에는 안중근의사의 가묘도 있는데 지난 안중근평전 포스팅을 하면서 언급했지만 해방이되면 뤼순감옥에서 이장해 달라는 유언이 있었지만 현재 시신도 찾지 못한 상태 유해찾기는 남한은 물론이고 안의사 고향인 북한에서도 여러차례 시도되었지만 아직 확실한것이 없는 상태로 4-50년대에 뤼순감옥 뒷편에서 참배를 했었다는 증언만 남아있는 상태..
현재 남은곳은 동산파쪽이라는데 중국쪽 문화재 보호구역이라 쉽게 허가가 나오지 않는 상태라고 알려진 가운데 중국으로서는 남북한 사이에서 미묘한 입장일 수 있기에 공동 발굴이 적절한 대안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효창공원내 삼의사묘 -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그리고 안중근 의사 가묘
백범 김구 기념관 아래에 있는 이봉창 의사 동상
이봉창 의사는 이곳 용산 출신이기에 이곳 효창공원이 고향
박태준이면 포철회장을 지낸 정치인
이봉창 의사는 1801년 이곳 용산 출생으로 문창보통학교(현재 효창 초등학교) 졸업하고 어려운 형평에 일본으로 넘어갔고 어려운 생활을 계속했다고 합니다.
이봉창 의사의 선서문
삼의사묘 동영상
안중근 의사 가묘
관련글 보기 -
2015/05/25 - [한국사 놀이터/근대] - [도서평 안중근 평전]사상가로서도 존경스러운 안중근의 초상 - 황재문
1946년 삼의사묘 환국
정문 올라가는길
이봉창 의사의묘
이봉창 의사의 묘비
짧지만 궁핍한 가운데 고단한 삶을 살았던 이봉창이 상해에 왔을때 임정에서는 일본 사람이라고 해도 믿을정도의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하는 그를 의심했었지만 김구는 서서히 접근하면서 그의 순진함과 열정을 엿보았고 취중에 이봉창은 왜 일본왕을 처단하지 못하냐는 말을 하였고 김구는 서서히 그계획을 1년넘게 치밀하게 구체화 시켜나갔는데 당시 임정은 내분과 지리멸렬한 성과로 외부의 질책속에서 월세 내는것도 어려울만큼 와해직전 상태.. 김구와 이봉창은 한인애국단을 결성하면서 1호단원이 되었고 의거이후에는 기폭제로 작용하면서 많은 후원을 끌어내며 광복군 창설까지 가게됩니다.
이봉창의사는 1931년 1월8일 일본 도쿄에서 일왕 히로히토를 향해 폭탄을 날렸지만 말과 마차만 망가진채 아쉽게 화력이 약해 미수에 그쳤고 그자리에서 체포되면서 같은해 사형을 당하게됩니다.
이봉창 의사 사진
1931년 12월 안중근 의사의 동생 안공근 자택에서 김구 선생과 마지막 인사후 기념사진
일본에서 검거 당시
사형직전의 사진
윤봉길 의사 묘
윤봉길 의사 묘비
1908년 충남예산 출생으로 1930년 장부출가 생불환이란 글을 남기고 중국으로 넘어갔고 1932년 김구를 찾아가 한인애국단에 들어갔고 이후 일본 병기창을 폭파하는 계획이 실패로 돌아갔지만 4월26일 일왕의 생일인 천장절에 모인 홍커우 공원에서 물병폭탄을 투하 했고 자살용으로 가져갔던 도시락 폭탄은 불발이 되었는데.. 일본군 시리카와 대장 거류민단장 가와바타등이 사망했고 3함대 사령관등 고위 군인들에게 중상을 입히며 체포되었고 같은해 12월 19일 총살
윤봉길의 의거는 중국과 소원해지던 임정이었는데 국민당의 장제스는 중국의 백만대군이 하지 못한 것을 해냈다면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받는 의거가 되었고 추후 항일투쟁에 커다란 동력이 되었습니다.
홍커우 공원에서의 의거
윤봉길의사 선서문
윤봉길 의사
윤봉길 의사 가족과 김구 선생
일제에의해 처형 당하는 윤봉길 의사
백정기 의사묘
백정기 의사 묘비
대중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백정기 의사는 신채호 선생으로 대표되는 무정부주의 즉 아나키스트로 1896년 전북 정읍 출신으로 삼일운동이후 독립운동에 투신 1924년 일본에 건너가 일왕암살등을 계획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중국에서 우당 이회영등과 무정부주의자 연맹을 결성해 대표로 출석하기도했는데 이후 윤봉길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시에도 같은 계획을 세웠으나 입장권이 없어 들어가지 못했고 이듬해인 1933년 다시 홍커우 공원에서 일본공사인 아리요시아키라 제거 계획을 세웠지만 사전에 누설되었는지 발각되어 일본으로 압송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중에 39세로 옥중순국
백정기 의사 기념관 웹사이트 - http://gupa.jeongeup.go.kr/
백정기 의사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는 당시 존폐의 기로에 서있던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계속함은 물론이고 중국의 국민당 정부의 지지를 받으며 지원을 받았고 추후 광복군 결성에 많은 기여를 하게됩니다. 이런 부분에는 백정기 의사같이 노선이 다른곳에서의 지사적인 의거들도 커다란 힘이되었고 후일 광복군의 국내진공작전 직전에 일본의 항복으로 미국과 러시아가 개입하면서 삼팔선이 그어지면서 현재의 분단에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기에 안타깝지만 당시 의거는 침체되었던 독립운동이 다시 부활하는 기폭제가 되었던것
블로그의 관련글
2015/05/27 - [역사유적 방문/유적지] - 용산 효창공원 효창원 - 김구 선생묘와 백범 김구 기념관
직접 촬영한 사진외 자료사진 출처 - 위키백과 퍼블릭 도메인
'역사유적 방문 > 유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 역대왕들을 모신 종묘에 처음가다 - 2013년 8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 2016.05.21 |
---|---|
설악산 비경 토왕성 폭포 영상 (0) | 2015.11.16 |
용산 효창공원 - 임시정부 요인의묘 이동녕 조성환 차리석 (0) | 2015.06.03 |
용산 효창공원 효창원 - 김구 선생묘와 백범 김구 기념관 (0) | 2015.05.27 |
[서울 정동 기행]구러시아공사관과 고종의 아관파천 (0) | 201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