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유적 방문/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조선왕릉 - 태조 이성계 건원릉 능침

반응형

건원릉 능침의 무석인 옆모습..

앞서 이야기한것처럼 건원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능이란 점에서 커다란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조선왕릉의 표본이 되는건 고려의 공민왕릉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조선초기의 능은 아직 불교적인 성격을 지닌것들이 있는데 뒤로 갈수록 불교적인 부분은 대부분 사라지게됩니다.

 

능침앞에 있는 배위 건원릉은 박자청이 설계했는데 제례는 정자각에서 이뤄지기에 실제로 능침은 필수로 올라가야할 성격은 아니었기에 특이한 부분이라 볼수 있습니다.

 

건원릉 능침 전경

 

능침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 촬영하는 자리는 풍수적으로는 이곳의 기혈이 모여있는 곳이기도합니다. 건원릉의 봉분은 억새풀로 유명하지만 매해 한식때에 한번씩 예초하는 청완예초를 거행합니다. 방문이 4월말이라 얼마되지 않아 다른 왕릉과 특별히 다른점을 볼수 없었습니다. 늦가을에 다시한번 오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능침 후면의 능선 나무에 가렸지만 좌청룡 우백호가 확연하게 드러난 곳으로 풍수적으로는 대단한 명당이라고 합니다.

장명등

 

장명등을 통해 내려다본 정자각 조선왕릉 답사를 자주하는 인스타그램 친구들의 샷이라 흉내내봤습니다.

 

혼유석과 고석으로 화면에 안잡혔지만 고석 한개는 많이 훼손되어 받침대를 받쳐두었습니다. 육백년을 지탱해온...

 

혼들이 위치를 찾는 망주석으로 초기에는 세호가 아닌 귀모양이 새겨져있습니다.

 

 

건원릉 병풍석과 난간석 병풍석 각면에는 십이지가 새겨져있습니다. 후대에는 문자로 대체하고 병풍석은 세조의 유언으로 사라졌다 성종때 다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이후 여러가지 변천이 있기도 했습니다.

 

봉분을 수호하고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석호와 석양

 

건원릉의 석양과 석마는 다리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인데 보통 막혀진 형태로 만들어진 것들이 많습니다. 이유는 세월의 풍화를 이기기 위한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마지막에 세워진 홍유릉의 석물들은 모두 뚫린형태로 내구성이 조금 불안해 보이기도 합니다.

 

 

건원릉의 무석인으로 원래 타고난 무인이었던 태조를 어딘가 닮았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를 많이합니다. 그렇게 믿고싶은 마음인데 물론 근거는 없는 이야기입니다.

 

건원릉 문석인의 모습

 

건원릉 석마

 

재방문을 위해 늦은 가을이 기다려지는 건원릉입니다.

 

관련글

https://noleter.com/239

 

태조 이성계 건원릉 정자각과 소전대 비각 - 구리 동구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자각에서 바라본 능침으로 정자각에서는 제향을 지내는 공간입니다. 몇년전까지는 제구들을 황색천으로 덮어두지 않아 제구색으로 추존황제와 아닌걸 구분하기도 했었는데 지금은 모두 황색 천으로 덮어두고 있..

noleter.com

https://noleter.com/238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동구릉 태조 이성계 건원릉 금천교에서 정자각까지

조선왕릉은 42기중 개성에 있는 후릉과 제릉을 제외하고 모두 보존상태가 좋아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물론 문제를 안고있는 곳도 있었지만 지금도 개선이 되고있다고 생각합니다. 능역..

noleter.com

 

 

반응형